방사선87 방사선종양학과의 네트워크 구조와 전자차트 시스템 최근 의료 환경은 모바일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환자 정보, 영상 자료, 의료 장비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사선종양학과는 PACS 망과의 연동을 통해 진단 영상 및 판독 자료를 공유하고, 병원 망 서버를 통해 환자 정보(OCS)를 활용하는 등 특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획득된 영상 정보는 치료 계획 워크스테이션을 거쳐 방사선 치료기에 전달되어 환자 치료에 활용됩니다. 또한, 기존의 종이 차트를 대체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은 환자 치료 관련 정보를 전자 문서화하여 관리하고, R & V(Record and Verify) 시스템을 통해 치료 계획 및 실제 치료 정보를 대조, 확인하여 치료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 2025. 4. 14. 등선량 분포와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 분석, 활용과 종류, 고려 사항 방사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복잡하고 정밀한 작업입니다.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종양에 충분한 선량을 조사하면서 주변 정상 조직에는 최소한의 손상을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각각의 계획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최적의 계획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본론에서는 방사선 치료 계획 평가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선량 분포와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VH)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러한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등선량 분포 분석: 시각적 선량 분포 평가 등선량 분포는 환자의 CT 또는 MR 영상 위에 선량 분포를 2차원 등고선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같은 선량 값을 나타내는 점들을 연결한 곡선들을 영상 .. 2025. 4. 13. 치료계획 시 사용하는 빔의 개수와 방향, 처방 선량과 정상조직의 내용선량, 빔의 선량 비중 방사선으로 표적을 치료할 때 광자선을 사용하기도 하며 광자선을 조사하는 방법은 방향과 빔의 개수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마다 특징이 있으며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했을 때 고려해야 하는 처방 선량과 정상조직의 내용선량, 빔의 선량 비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료계획 시 사용하는 빔의 개수와 방향 광자선을 이용한 치료계획을 세울 때 사용하는 빔의 개수는 적분선량과 치료 표적의 조형도(confemnity). 주변 조직의 선량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치료계획 시 사용할 빔의 개수는 어떤 치료냐에 따라 다르지만 2차원적인 치료계획에서는 1개에서 4개 사이가 보편적입니다. 각 빔에서 표적에 가하는 선량은 표적을 지나기 전, 표적 내, 표적을 지난 후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 2025. 4. 13. 치료 방법 및 방사선의 종류, 에너지 선택 치료계획 수립에서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치료 방법과 장비, 방사선 종류 및 에너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병원마다 장비가 다르며, 최근 선형가속기는 다양한 광자선과 전자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차원 치료계획의 발전과 함께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적절한 치료 방법과 장비, 그리고 방사선의 종류 및 에너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병원마다 보유하고 있는 장비가 다르기 때문에, LINAC만 있는 경우도 있고, 고선량률 동위원소를 이용한 근접치료기를 (Remote After loader) 보유한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 설치된 선형가속기는 대부분 두 개 이상의 광자선과 여러 개의 전자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 2025. 4. 10. 이전 1 2 3 4 5 6 7 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