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이모저모

방사선 물리학이나 촬영방법 같은 방사선과 연관된 여러 정보를 알아보고 이를 기술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4.

    by. 배리어스

    목차

      방사선 치료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치료 확인'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모의 치료 시 결정된 조사면, 종양/표적 위치, 정상 조직, 차폐 등이 실제 치료 시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환자 자세 및 고정 장치 확인, 영상 비교 등의 방법을 통해 정확성을 확보하며, 뇌종양의 경우 종양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의 치료 방법이 적용됩니다. 이번 글에선 방사선 치료 확인 방법과 뇌종양의 모의 치료 방법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방사선 치료 확인 방법과 뇌종양의 모의 치료 방법
      방사선 치료 확인 방법과 뇌종양의 모의 치료 방법

       

      방사선 치료 확인

       

       

      방사선 치료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치료 확인'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모의 치료 시 결정된 조사면, 종양/표적, 정상 조직의 위치, 차폐, 체표 표시 등이 실제 치료 시에도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치료 시작 전뿐만 아니라 매일 치료 시작 전에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방사선 치료 확인 방법에는 환자 자세 및 고정 장치를 확인하는 방법과 영상을 비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환자 자세 및 고정 장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환자 치료 영역에 잉크로 표시된 부분과 고정 장치가 환자와 정확히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매일 치료할 시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인 영상 비교 방법은 선형 가속기로 촬영된 영상(Verification 영상, Linacgram, Cobalt gram, Port 필름 등)을 모의 치료 영상과 비교하여 종양/표적이 치료 조사 면에 포함되는지, 정상 조직이 적절히 차폐되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이중 촬영 기법을 사용하여 첫 번째 치료 조사면을 조사하고, 두 번째 차폐체 없이 넓게 촬영하여 모의 치료 영상과 비교합니다.

       

      모의 치료 영상과 치료 확인 영상에 차이가 있다면, 환자의 자세를 다시 확인하거나 다시 한번 모의 치료를 통해 정확한 자세와 조사면을 확보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필름 카세트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EPID(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를 이용하여 치료 확인 영상을 촬영합니다. 또한, 전산화 단층 모의 치료 장치를 이용한 3D/4D 치료가 발전함에 따라 Cone Beam CT 영상을 활용하여 환자 자세를 확인하고 더욱 정밀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뇌종양의 모의 치료촬영

       

       

      뇌종양은 머리뼈 내에서 발생하는 신생물로, 원발성 뇌종양, 전이성 뇌종양, 백혈병/림프종에 의한 뇌척수막 침습 등으로 분류됩니다.

       

       

      분류에 따른 뇌종양의 치료 목적

       

       

      원발성 뇌종양: 생검/부분 절제 후 뇌 전체 방사선 치료 및 원발 부위 추가 치료를 시행합니다. (Booster Therapy)

       

      전이성 뇌종양: 뇌 전체 방사선 치료를 치료 목적으로 삼습니다. (단일성이거나 크기가 큰 경우 추가 치료 고려)

       

      뇌척수막 침습: 뇌 전체, 척수, 안와 속 시신경까지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하는 것입니다. (눈/인후 부위 차폐 주의)

       

       

      일반적인 모의 치료 과정:

       

       

      1. 환자에게 모의 치료 과정 설명 후 테이블 위에 똑바로 눕히고 양 팔을 몸에 붙입니다.

       

      2. 머리를 똑바로 하고 특수 고정 장치(Headrest, Velcro Chin Straps, Alpha Cradle, Sponges 등)를 사용하여 고정합니다.

       

      3. Isocenter를 정하고 SSD를 맞춥니다.

       

      4. 투시를 통해 조사면을 설정합니다. (예: 22x17cm², 콜리메이터 각도 조절)

       

      5. 좌우 측면 X선 사진을 촬영하고 방사선 치료 전문의의 확인을 받습니다.

       

      6. 환자 피부에 조사면을 표시하고 치료 부위/얼굴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하여 환자 기록철에 부착합니다. (머리 고정 기구 사용 시 기구 위에 조사면 표시)

       

      7. 환자 기록철에 모의 치료 정보 및 관련 자료를 기록합니다.

       

       

      세부적인 모의 치료 방법:

       

       

      전 뇌 조사 (Whole Brain)

       

      좌우 대향 2문 조사를 실시합니다. 전 뇌 조사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 뇌 조사의 절차

       

      1. 환자에게 모의 치료 과정을 설명하고 테이블에 똑바로 눕힙니다.

       

      2. 머리를 똑바로 고정 장치로 고정한다.

       

      3. Isocenter를 정하고 SSD를 맞춥니다.

       

      4. 투시 하에 조사면을 설정합니다. (22x17cm² 정도, 콜리메이터 각도 조절)

       

      5. 좌우 측면 X선 사진 촬영 후 전문의가 확인합니다.

       

      6. 피부에 조사면 표시, 치료 부위 및 얼굴 사진 촬영 후 차트에 기록합니다.

       

      7. 모의 치료 정보 및 관련 자료를 차트에 기록합니다.

       

       

      축소 조사법 (Reduction or Cone down Technique)

       

      전 뇌 조사법과 동일하나, 투시를 통해 치료 부위 설정 시 조사면을 축소합니다.

       

       

      헬멧 조사법 (Helmet Technique)

       

      전이성 뇌종양 치료에 주로 사용되며, 종양으로 인한 중추 신경계 압박 또는 종양 침윤에 의한 증세 완화 및 생존 기간 연장을 목표로 합니다. 눈 차폐를 위해 차폐물 경계는 뒤쪽으로는 Lateral Canthus, 위로는 Anterior Fossa로 설정합니다.

       

       

      신경교종 (Glioma)

       

       

      종양 위치에 따라 자세 및 조사 방향을 결정합니다. 전산화 치료 계획을 시행하며 쐐기 필터 (Wedge) 등 선량 보상체를 사용합니다.

       

       

      종양 위치가 대뇌 중앙

       

      누운 자세에서 대향 2문 조사를 시행합니다.

       

       

      종양이 뇌 좌/우측 편향

       

      누운 자세에서 대향 2문 조사 (종양 위치 쪽 선량 비중 높임) 또는 전산화 치료 계획에 의한 상방/측방 2문 조사, 측와위 Ipsilateral Paired Wedge Technique를 사용합니다.

       

       

      후두엽 위치

       

      엎드린 자세에서 대향 2문 조사 또는 후방/측 방향 조사를 시행합니다.

       

       

      전두엽/측두엽 위치

       

      전 방향 조사면을 사용하며, 머리를 충분히 숙여 시신경/안구 방사선 장애를 최소화합니다.

       

       

      중추 신경계 (Central Nerve System)

       

       

      전 뇌 및 전 척수 강 내 거미막하 공간이 치료 표적입니다. 뇌 전체는 대향 2문 조사 (SAD 법), 전 척수(전 뇌 조사면 하단: C2-4에서 제2/3요추까지)는 1문 조사(SSD)로 치료합니다. 뇌/척수 조사면 경계 부분 중첩을 피해야 하며, 척수가 긴 경우 2개 조사 면으로 나누어 치료 시 조사면 경계 중첩에 주의합니다.

       

       

      뇌하수체 선종 (Pituitary Adenoma)

       

       

      누운 자세에서 대향 2문 조사, 3문 조사, 회전 조사를 시행합니다. 측두엽 과다 선량 및 안구 방사선 장애를 줄이기 위해 머리를 충분히 숙인 자세가 필요하며, 특수 보조 용구(Aquaplast)를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뇌종양 치료 시 주의 사항:

       

       

      뇌종양 치료는 SAD 법 또는 SSD 법으로 치료하며, SAD 법이 위치 잡이 재현 시간 절약 및 오차 감소에 유리합니다. 조사면은 두부 크기보다 1cm 정도 크게 설정해야 하며, 너무 크면 치료 시간/MU 계산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선량 계산을 위해 가면적 계산 시 조사면 전체의 등가 면적에서 피부 밖 조사 면의 등가 면적을 제외하여 오차를 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