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이모저모

방사선 물리학이나 촬영방법 같은 방사선과 연관된 여러 정보를 알아보고 이를 기술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7.

    by. 배리어스

    목차

      유방암 방사선 치료는 환자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며, 종양 위치, 크기, 림프샘 침범 여부, 수술 여부, 체형, 건강 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정확하고 세심한 모의 치료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조사 범위를 최적화하고 선량 분포를 정밀하게 계획하여 정상 조직의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이번 글에선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

       

       

      유방암 방사선 치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의 치료 기법은 크게 3문 조사법(Three Field Technique),  2문 접선 조사법(Tangential Technique),  액와 추가 조사법(Axillary Booster Technique)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3문 조사법(Three Field Technique)

       

       

      3문 조사법(Three Field Technique)은 쇄골상 림프절과 액와 림프절을 포함하는 전면 조사 면과 유방 및 흉벽을 치료하는 접선 조사면을 결합하여, 내유 림프절을 포함한 광범위한 영역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3문 조사법의 모의 치료 과정은 먼저 환자에게 치료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예상 소요 시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치료 중 안정적인 자세 유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환자는 특별히 제작된 breast board 위에 편안하게 눕히고, 정중 흉골 축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breast board의 기울기를 세심하게 조절합니다.

       

      치료를 받는 쪽 팔은 팔꿈치를 자연스럽게 구부려 머리 위로 올리도록 안내하며, 팔의 위치가 방사선 조사 영역, 특히 접선 조사 면에 불필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콜리메이터 중심선과 시상 레이저 선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가 최대한 직선이 되도록 정밀하게 조정하고, 흉골절흔과 검상돌기가 정확하게 교차하는지 확인합니다.

       

      전면 조사면은 쇄골상 림프절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신중하게 설정하며, 중심축은 접선 조사 면의 상부가 되도록 위치시킵니다.

       

      조사면 아래쪽 흉벽은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차폐하고, 중심축 상의 TSD(Target Skin Distance)와 치료기의 SAD(Source Axis Distance)를 일치시켜 정확한 선량 전달을 보장합니다.

       

      환자의 체표에 조사면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쇄골상 림프절과 액와 부위에 선량 계산점을 표시하여 치료 계획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마지막으로, 투시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 면에서 척수가 완전히 제외되도록 갠트리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하고, 접합 경계를 표시한 후 촬영하여 조사 면의 정확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3문 조사법을 시행할 때는 유방 조직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피부 표면보다는 흉골에 표시하는 것이 더 정확하며, 갠트리 각도는 반음영 현상을 최소화하고 폐에 들어가는 방사선량을 가능한 한 줄이도록 신중하게 계획해야 합니다.

       

       

      2문 접선 조사법(Tangential Technique) 

       

       

      2문 접선 조사법(Tangential Technique) 은 쇄골상 림프절을 치료 범위에서 제외하고, 유방과 흉벽에 국한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2문 접선 조사법의 모의 치료 과정은 3문 조사법과 유사하게 시작되며, 환자를 breast board 위에 편안하게 눕히고 팔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합니다.

       

      콜리메이터 중심선과 시상 레이저 선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를 정밀하게 조정하고, 환자 체표에 처음 표시하는 두 점(P1과 P2)을 기준으로 절선 조사 면의 경계를 설정하고 표시합니다.

       

      캘리퍼를 사용하여 P1과 P2 사이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흉벽 각도를 측정합니다.

       

      유방과 흉벽을 충분히 포함할 수 있는 조사면을 결정하고, 절선 조사 각도 측정 양식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세, 조사 각도, 이동 거리 등 위치 재현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꼼꼼하게 기록합니다.

       

      전면 조사 면에서 P1 지점에 TSD를 맞춘 후 체표에 정확하게 표시하고, 계산에 의해 얻은 이동 거리만큼 환자를 이동시킵니다.

       

      갠트리 각도를 적절하게 회전시키고, 유방, 흉벽, 그리고 필요한 경우 내유 림프절을 포함할 수 있는 최적의 콜리메이터 각도를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유방과 내유 림프절의 경계가 조사 범위 내에 충분히 포함되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외측 절선 조사 각도를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체표에 모든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표시한 후 자료를 기록하고, 필요하다면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하여 추후 치료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합니다.

       

      접선 조사법을 사용할 때는 유방을 포함하는 조사 면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계산 과정을 반복하여 조사 범위를 재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액와 추가 조사법(Axillary Booster Technique)

       

       

      액와 추가 조사법(Axillary Booster Technique)은 액와 림프절에 추가적인 방사선 조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액와 림프절은 유방암 세포가 전이될 가능성이 높은 부위이므로, 이 부위에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액와 추가 조사법의 모의 치료 과정은 먼저 환자에게 치료 과정과 예상 소요 시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사용할 보조 기구를 결정합니다.

       

      환자의 자세는 접선 조사와 동일하게 유지하고, 치료 부위, 즉 액와 림프절을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에 갠트리를 180도 회전하여 SSD를 100cm로 맞춥니다.

       

      투시 장비를 사용하여 치료 관심 부분과 조사면 조건을 신중하게 결정하고, 촬영한 후 체표에 조사 범위를 명확하게 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모의 치료 촬영 정보를 상세하게 기록하고, 필요하다면 사진을 촬영하여 추후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합니다. 액와 추가 조사법은 전면 쇄골 상-액와 림프절 조사 면이 조사할 수 있는 깊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액와 부위에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