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사선87

근접치료 기술들의 구체적인 특징과 선량 측정 근접치료는 밀봉된 소선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됩니다. 표면 몰드법, 조직 내 치료, 관내 치료, 강 내 치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관내, 강내, 조직 내 치료가 주로 활용됩니다. 특히 자궁경부암 치료 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 치료와 Ir-192를 이용한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근접치료의 다양한 방법과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접치료 기술 근접치료의 방법으로는 밀봉 소 선원을 이용하여 표면 몰드법(mold), 조직 내 치료(interstitial therapy), 관내 치료(intra luminal therapy), 강 내 치료(intracavitary therapy)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관 내 치료, 강 내 치료, 조직 내 치료법을 임상에서 많.. 2025. 4. 22.
선량 계산법 근접치료의 선량 계산법은 Quimby법, Paterson-Parker 법, Paris 법 등 여러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은 선량 분포 방식과 선원 배열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이들 방법은 종양 치료 시 선량을 균등하게 조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선량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량 계산법 근접치료의 선량 계산법은 50년 동안 고안되어 왔으며 그 중 Quimby법, Paterson-Parker 법, Paris 법 등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 세 가지 방법의 차이는 기존 선량의 규정 방법, 선량 균등성의 정의, 선원의 삽입(implantation) 방법 등에 있습니다. Paris와 Quimby법은 주변보다 중심에 더 높은 선량이 되는 불균등한 선량 분포를 얻는 데 반.. 2025. 4. 22.
인공방사성 동위원소의 종류와 특징 저번 글에선 방사선 치료에 주로 사용되었던 라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과거 방사선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던 라듐은 인체에 유해한 라돈 가스 방출, 밀봉 용기 내 압력 증가, 온도에 따른 내압 변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다양한 인공 방사성동위원소가 개발되어 라듐을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s-137, Co-60, Ir-192, Au-198, I-125, Pd-103, P-32, I-131 등 라듐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주요 인공 방사성동위원소들의 특징과 임상적 활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각 동위원소가 가진 장단점과 실제 치료 적용 사례를 통해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 2025. 4. 20.
근접치료의 정의와 종류와 밀봉 소선원의 특징, 근접치료에 사용하는 라듐(radium) 근접치료(brachytherapy)란 밀봉된 소선원(방사성 동위원소)을 종양에 접근시켜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강내 치료, 체관내 치료, 조직 내 치료, 표면 조사 등 네 가지 대표적인 방법이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밀봉하여 조직 내부에서 직접 치료를 수행합니다. 근접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는 Iridium-192, Cobalt-60, Cesium-137 등이 있으며, Iridium-192은 짧은 반감기와 높은 방사능으로 많이 활용됩니다. 이 치료법의 장점은 종양에 높은 선량을 짧은 시간에 조사하면서 정상 조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제 근접치료의 세부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접치료의 정의와 종류 근접치료(brachyther.. 2025. 4. 19.
방사선종양학과의 네트워크 구조와 전자차트 시스템 최근 의료 환경은 모바일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환자 정보, 영상 자료, 의료 장비 등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사선종양학과는 PACS 망과의 연동을 통해 진단 영상 및 판독 자료를 공유하고, 병원 망 서버를 통해 환자 정보(OCS)를 활용하는 등 특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획득된 영상 정보는 치료 계획 워크스테이션을 거쳐 방사선 치료기에 전달되어 환자 치료에 활용됩니다. 또한, 기존의 종이 차트를 대체하는 전자 차트 시스템은 환자 치료 관련 정보를 전자 문서화하여 관리하고, R & V(Record and Verify) 시스템을 통해 치료 계획 및 실제 치료 정보를 대조, 확인하여 치료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 2025. 4. 14.
등선량 분포와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ose-Volume Histogram, DVH) 분석, 활용과 종류, 고려 사항 방사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복잡하고 정밀한 작업입니다.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종양에 충분한 선량을 조사하면서 주변 정상 조직에는 최소한의 손상을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각각의 계획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최적의 계획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본론에서는 방사선 치료 계획 평가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등선량 분포와 선량-체적 히스토그램(DVH)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러한 도구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등선량 분포 분석: 시각적 선량 분포 평가  등선량 분포는 환자의 CT 또는 MR 영상 위에 선량 분포를 2차원 등고선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같은 선량 값을 나타내는 점들을 연결한 곡선들을 영상 ..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