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접치료 기술들의 구체적인 특징과 선량 측정
근접치료는 밀봉된 소선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됩니다. 표면 몰드법, 조직 내 치료, 관내 치료, 강 내 치료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관내, 강내, 조직 내 치료가 주로 활용됩니다. 특히 자궁경부암 치료 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 치료와 Ir-192를 이용한 강내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근접치료의 다양한 방법과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접치료 기술 근접치료의 방법으로는 밀봉 소 선원을 이용하여 표면 몰드법(mold), 조직 내 치료(interstitial therapy), 관내 치료(intra luminal therapy), 강 내 치료(intracavitary therapy)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관 내 치료, 강 내 치료, 조직 내 치료법을 임상에서 많..
2025. 4. 22.
인공방사성 동위원소의 종류와 특징
저번 글에선 방사선 치료에 주로 사용되었던 라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과거 방사선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던 라듐은 인체에 유해한 라돈 가스 방출, 밀봉 용기 내 압력 증가, 온도에 따른 내압 변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다양한 인공 방사성동위원소가 개발되어 라듐을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s-137, Co-60, Ir-192, Au-198, I-125, Pd-103, P-32, I-131 등 라듐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주요 인공 방사성동위원소들의 특징과 임상적 활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각 동위원소가 가진 장단점과 실제 치료 적용 사례를 통해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
2025.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