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0

선량 측정 물질인 인체와 방사선의 상호작용으로 방사선의 에너지가 인체에 전달되어 결국 방사선에 피폭됩니다. 방사선량은 물리학적으로는 물질의 단위 면적당 통과된 입자 수나 에너지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입자 플루언스나 에너지 플루언스로 측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생물학적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방사선의학에서는 유용한 측정이라 할 수 없습니다. 방사선의학에서는 방사선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중요시하므로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선량을 기준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방사선량의 정의와 단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조사선량 조사선량은 1956년 국제 방사선 단위 측정위원회에 의해 도입된 개념으로 말합니다. 광자에 의한 공기에서 전리 능력에 따라서 표시되는 방사선의 양을 의미합니다.. 2024. 3. 20.
방사선장에서의 입자나 에너지의 흐름과 상호작용 계수 방사선 측정을 위해서는 방사선의 양과 단위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위의 혼동으로 어느 정도 피폭되어야 인체에 유해한지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선 방사선장에서의 입자나 에너지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방사선방호에서 사용되는 양의 개념을 알아봅니다. 방사선 입자의 수 단위시간 동안에 입사된 입자 수를 입자 선속이라고 합니다. 즉, 입자 선속은 시간에 대한 입자 수의 변화율입니다. 입자의 흐름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적의 구로 들어오는 입자 수를 입자 플루언스라고 합니다. 또한 시간에 대한 입자 플루언스의 변화율을 입자 플루언스 올 또는 입자 선속 밀도라 합니다. 방사선 에너지 방사선 에너지의 흐름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적의 구로 들어오는 에너지를 에너지.. 2024. 3. 20.
핵분열과 핵융합 물질과 물질 사이에 일어나는 반응에는 탄성산란, 비탄성산란, 핵분열, 핵융합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의 핵이 두 개 이상의 핵으로 나누어지는 과정인 핵분열과 핵과 핵이 융합하여 하나의 핵이 되는 과정인 핵융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분열이란? 핵분열은 원자핵이 2개의 비슷한 질량을 가진 조각으로 분리되는 과정입니다. 원자핵의 분열 과정은 액체 방울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액체 방울이 자극받아 들뜨게 되면 진동하게 되고, 자극이 충분히 크면 깨지게 됩니다. 원자핵도 들뜬 상태에 있을 때 물방울같이 진동할 수 있습니다. 원자핵은 물방울과 같이 표면장력을 갖지만, 반면에 양성자들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으로 깨지려는 힘을 받기도 합니다. 원자핵이 진동으로 인해 구형에서 벗어나서 타원체로 찌그러져.. 2024. 3. 17.
핵반응의 종류, Q 값, 입사입자의 감쇠, 평균자유행로 원자핵에 다른 입자를 충돌시켜 원자핵의 에너지나 핵종을 바꾸는 반응을 핵반응이라고 합니다. 자연 방사성 원소가 발견된 후에도 얼마 동안은 인공적으로 원자핵을 바꾼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러더퍼드가 인공적으로 핵변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후에는 핵변환의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핵변환은 방사성 붕괴처럼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다른 원자핵, 입자, 광자 등과의 상호작용으로 핵이 변화하는 유도 핵반응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핵반응의 결과로부터 핵의 구조를 알아낼 수 있으며, 우주의 진화에서 이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태양이나 다른 별들 속에서의 핵반응은 우주의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 됩니다. 또 한 핵반응에 의해서 얻어진 생성 핵은 대부분 인공방사성 원소로서 .. 2024.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