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0 외부피폭과 내부피폭에 따른 방사선방호 원칙 방사선 피폭은 크게 외부피폭과 내부피폭으로 구분됩니다. 방사선원이 외부에 존재하면 그 주위에는 방사선장을 형성합니다. 이 방사선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경우 외부 방사선장에 의해 피폭을 받게 되는데 이를 외부피폭이라 합니다. 내부피폭은 방사성물질이 인체 내에 유입되어 내부 조직에서 방사선 피폭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피폭은 우리 몸에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방호하여 우리 몸을 보호해야만 합니다. 이번 글에선 피폭을 방호하기 위한 방사선방호의 원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부피폭일 때 방사선방호 원칙 방사선원이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피폭의 경우, 작업자의 피폭을 결정하는 요인은 방사선의 세기, 작업공간의 단위 시간당 방사선량입니다. 외부피폭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방법은 시간의 원칙, 거리의 원칙, .. 2024. 4. 12. 방사선방호의 의미와 목적, 원칙과 개입 방사선은 우리 주변에 존재하며 피폭되면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진단, 치료, 산업 등 유용한 면도 있기에 이득과 손실을 잘 계산하여 이용해야 합니다. 이득과 손실을 잘 계산하여 사용하기 위해 만든 체제가 방사선방호 체계이며 이 글에서는 방사선방호의 의미와 목적, 원칙과 개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사선방호의 의미 방사선방호란 방사선 피폭을 수반하는 유익한 행위들을 부당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 전리 방사선에 대한 방호의 적절한 표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즉, 방사선 피폭을 수반할 수 있지만 사람들의 활동을 부당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 방사선 피폭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사람과 환경을 방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방사선방호의 목표 방사선방호의 목표는 결정론적 영향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을 방.. 2024. 4. 11. 신체 부위에서 발생하는 방사선 장애 방사선은 생식선, 수정체, 피부, 조혈조직, 갑상샘 등 다양한 인체 조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생식선에서는 불임을 유발하고, 수정체에서는 백내장을 초래하며, 피부에서는 암과 같은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조혈조직은 백혈병과 같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고, 갑상샘은 기능 저하와 염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사선 장애는 각 조직의 감수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방사선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각 신체 부위에 방사선이 조사되면 각각의 부위마다 다른 방사선 장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생식선에 대한 방사선 장애 생식선에선 정소와 난소에서 방사선 장애가 일어납니다. 생식선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불임을 유발하는데, 정자는 그 형성의 .. 2024. 4. 10. 방사선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소 방사선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존재하며 이것은 생물체를 피폭시켜 장애를 일으킵니다. 하지만 장애를 유발하는 요소를 알면 피폭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선 방사선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사선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소 생물체에 피폭되는 방사선의 형태는 체외피폭과 내부피폭의 두 가지로 나뉘며, 이러한 방사선에 의해 장애가 발생합니다. 방사선이 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흡수 선량, 단위 시간당 흡수 선량, 선량 분포,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 피폭 범위, 생물학적 요인 등이 있으며 체내에서 피폭될 경우 방사성 핵종의 조직 내 침착 부위, 방사성 핵종의 물리화학적 특성, 유효 반감기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흡수 선량 인체에 대한 선량과 장애와의 상관관계는 복잡.. 2024. 4. 9.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