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87 방사선 검출기의 전리 원리에 따른 분류 방사선은 인체에 흡수되면 경우에 따라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방사선의 흡수 선량을 알아야 합니다. 또한 흡수 선량을 알기 위해선 조사선량을 알아야 합니다. 그렇기에 방사선의 조사선량, 흡수 선량 등을 조사하기 위해선 방사선 검출기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방사선 검출기를 전리 원리에 따라 분류해 보겠습니다. 기체 전리를 이용한 검출기 기체에 방사선이 조사되면 기체 원자는 전리시켜 전자와 양이온을 생성합니다. 이때 생성된 전자와 양이온은 외부 전기장을 이용해서 이온쌍을 전극에 모으면 외부 회로에 전리전류가 흐르는데, 이때 전기를 계측하면 전기량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기체 중에서 한 쌍의 이온을 만드는 데 필요한 평균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체 .. 2024. 3. 26. 선량 측정 물질인 인체와 방사선의 상호작용으로 방사선의 에너지가 인체에 전달되어 결국 방사선에 피폭됩니다. 방사선량은 물리학적으로는 물질의 단위 면적당 통과된 입자 수나 에너지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입자 플루언스나 에너지 플루언스로 측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생물학적 효과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방사선의학에서는 유용한 측정이라 할 수 없습니다. 방사선의학에서는 방사선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중요시하므로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선량을 기준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방사선량의 정의와 단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조사선량 조사선량은 1956년 국제 방사선 단위 측정위원회에 의해 도입된 개념으로 말합니다. 광자에 의한 공기에서 전리 능력에 따라서 표시되는 방사선의 양을 의미합니다.. 2024. 3. 20. 방사선장에서의 입자나 에너지의 흐름과 상호작용 계수 방사선 측정을 위해서는 방사선의 양과 단위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단위의 혼동으로 어느 정도 피폭되어야 인체에 유해한지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선 방사선장에서의 입자나 에너지의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방사선방호에서 사용되는 양의 개념을 알아봅니다. 방사선 입자의 수 단위시간 동안에 입사된 입자 수를 입자 선속이라고 합니다. 즉, 입자 선속은 시간에 대한 입자 수의 변화율입니다. 입자의 흐름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적의 구로 들어오는 입자 수를 입자 플루언스라고 합니다. 또한 시간에 대한 입자 플루언스의 변화율을 입자 플루언스 올 또는 입자 선속 밀도라 합니다. 방사선 에너지 방사선 에너지의 흐름에 대해서 수직인 단면적의 구로 들어오는 에너지를 에너지.. 2024. 3. 20. 핵분열과 핵융합 물질과 물질 사이에 일어나는 반응에는 탄성산란, 비탄성산란, 핵분열, 핵융합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의 핵이 두 개 이상의 핵으로 나누어지는 과정인 핵분열과 핵과 핵이 융합하여 하나의 핵이 되는 과정인 핵융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분열이란? 핵분열은 원자핵이 2개의 비슷한 질량을 가진 조각으로 분리되는 과정입니다. 원자핵의 분열 과정은 액체 방울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액체 방울이 자극받아 들뜨게 되면 진동하게 되고, 자극이 충분히 크면 깨지게 됩니다. 원자핵도 들뜬 상태에 있을 때 물방울같이 진동할 수 있습니다. 원자핵은 물방울과 같이 표면장력을 갖지만, 반면에 양성자들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으로 깨지려는 힘을 받기도 합니다. 원자핵이 진동으로 인해 구형에서 벗어나서 타원체로 찌그러져.. 2024. 3. 17.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