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맨틀 조사법의 치료 범위는 목, 액와, 종격동, 후두골과 귓바퀴 앞의 림프샘을 포함합니다. 이 치료법은 호차킨스병(Hodgain's disease) 뿐만 아니라 일부의 비호치킨스림프종(non Hodgkin's lymphoma)의 방사선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이번 글에선 맨틀 조사법의 과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맨틀 조사법(mantle technique) 맨틀 조사법(mantle technique)
맨틀 조사법은 방사선치료 중에서도 어려운 난이도에 속하는 치료법입니다. 따라서 모의 치료촬영 과정의 정확도와 정밀도가 치료 성적을 좌우합니다. 팔과 턱의 자세는 매일 치료하는 것을 고려하여 치료 자세를 하기 편해야 합니다. 이 치료법은 관련된 부위를 포함하는 조사면을 얻기 위해 충분한 TSD(Target-Surface Distance)를 이용합니다. 또한 개인 차폐물(custom block)을 만들어, 사용하기 위해 2차의 모의 치료촬영을 합니다.
1차 과정
전면 조사
1. 환자에게 모의 치료촬영 과정을 설명합니다.
2. 환자는 누운 자세로 팔은 구부려 두 손을 허리에 붙입니다. 팔의 자세는 액와부위에서 어떠한 피부 겹침도 없어야 합니다. 머리의 자세는 테이블의 꼭대기에 수직으로 하악골이 위치하여야 하며, 머리 고정 기구는 자세에 적합한 도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3. 조사 면의 경계를 결정하기 전에 척추 수를 확인하기 위해 등뼈와 허리뼈 부위에의 사전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때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일부 환자는 척추의 수가 달라 근접한 조사 면의 간격 설정 시 문제가 발생하기에, 반드시 이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4 중심축에서의 TSD를 100~140cm 정도로 조절합니다. 늘어난 TSD는 조사 영역을 충분히 포함하는 조사 면을 얻기 위해 필요합니다.
5. 관심 있는 부위와 조사면 경계를 정한 후 조건에 맞는 조사 면을 결정합니다. 이때 그 조건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 윗면 경계(margin)는 유양돌기(mastoid tip)에 위치합니다.
- 아래면 경계(margin)는 등뼈 10번과 11번 사이의 추간 내(vertebral inerspace)로 합니다.
- 측면 경계는 액와를 충분히 포함합니다.
6.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조사 면의 경계를 확인합니다.
7. 전면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때 필름상이 모든 조사 면을 포함해야 하기에 두 장의 필름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촬영된 두 장의 필름이 정확히 겹칠 수 있도록 중심축이 포함된 두 장의 X선 사진을 촬영합니다. 촬영할 시, 동일한 조건으로 촬영하고, 환자나 테이블이 고정되어야 하며, 또한 동일한 확대율로 촬영해야 합니다.
8. 얻어진 사진을 확인한 후 자료를 적용합니다.
9. 환자의 두께가 조사 면내에서 일정하지 않으므로 선량의 불균등분포가 발생합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 조사 면내 두께가 다른 및 점에서의 두께를 측정하여 각 점에서의 선량을 계산합니다.
10. 환자의 체표에 조사 면의 경계와 위치 조절을 위한 표시를 합니다.
11. 환자의 위치 조정 자세와 측면에서의 머리 위치 사진을 촬영합니다.
12. 위치 조정과 관련된 자료를 차트에 기록합니다.
후면 조사
1.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한 후 팔은 구부려 두 손을 허리에 붙인다. 팔의 자세는 액와부위에서 어떠한 피부 겹침도 없어야 합니다. 머리의 자세는 테이블의 꼭대기에 수직으로 하악골이 위치하게 되어야 하며, 고정 지지대를 턱 밑에 놓아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2. 전면의 위치를 조정했을 때와 동일한 TSD를 맞춘다.
3. 전면의 위치를 조정했을 때 사용된, 동일한 경계를 포함하는 조사면을 맞춘다. 이 조사면은 전면의 위치를 조정했을 때보다 조금 커질 수도 있습니다.
4.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투시하면서 모든 조사면 경계를 확인합니다. 이때 전면 조사 면과 해부학적 위치가 동일한지, 조사면 내에 모두 포함되는가를 확인합니다.
•대동맥을 포함하여 치료할 경우, 조사면 하단의 척수 위치에 간격을 두어야 합니다.
5. 후면 X선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때 전체 조사 면이 사진에 포함되어야 하며, 또한 촬영된 두 장의 필름에는 중심축이 정확히 겹칠 수 있도록 두 장의 사진을 촬영합니다. 촬영할 때는 같은 조건으로 촬영하고, 환자나 테이블이 움직여서는 안되며, 동일한 확대율로 촬영해야 합니다.
6. 얻어진 사진을 확인한 후 모든 자료를 기록합니다.
7. 환자의 체표에 조사면 경계 및 위치를 표시합니다.
8. 환자 위치 조절했을 때의 자세, 측면에서의 머리 위치와 얼굴의 폴라로이드 사진을 촬영합니다.
2차 과정
전면 조사
1. 환자는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2. 일차 과정에서 사용된 자세를 재현합니다.
3. 일차 과정에서 이용한 조사 조건과 같게 합니다. (조사면, TSD)
4. 콜리메이터 트레이 위에 개인 차폐물(custom block)을 놓는다.
5. 투시하면서 차폐물이 맞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교정합니다)
6. 환자 체표 상에 조사면 경계와 차례 부위를 표시합니다.
7. 사진을 촬영하기 전, 체표 상의 아래와 같은 지점에 표시하고 정확성을 확인합니다.
-표시할 위치
-우 쇄골 상 림프샘 부위
-목 바깥쪽 체표에서 중심선 사이의 중간 거리
-종격동 중앙(midmediastinum) (중심점과 조사면 아래쪽까지 거리의 1/2되는 지점)
-종격등 하부(lower mediastinum)(간격의 1/2cm 되는 점)
-우 액와(만약 조직검사 부위가 좌측에 있다면 위의 두 점을 좌측에 표기합니다.)
-중심축
8. 전면 X선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때 필름상은 전체 조사 면을 포함하며, 또한 촬영된 두 장의 필름이 정확히 겹칠 수 있도록 중심축이 포함된 사진 두 장을 촬영합니다. 촬영 시에는 동일한 조건으로 촬영하고, 환자나 테이블이 움직여서는 안되며, 동일한 확대로 촬영해야 합니다.
9. 차트에 모든 자료를 기록합니다. 표시해 놓았던 부분의 TTID, IFD, 후면 간격을 기록합니다.
10 추가해야 할 사항을 체표에 표시합니다.
11 그림(diagram)에 차폐 크기를 기록합니다.
12 차폐 부위를 체표에 표시하고 사진을 촬영합니다.
후면 조사법
1. 환자를 엎드린 자세로 하여 1차 과정에서 사용한 후면 위치 조정을 재현합니다. 2. 1차 과정에서 사용한 조사 조건과 같게 합니다. (조사면, TSD)
3. 콜리메이터 트레이 위에 개인 차폐물을 놓습니다.
4. 투시하면서 차폐물이 맞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필요하다면 교정합니다)
5. 환자 체표 상에 조사면 경계와 차폐되는 부위를 표시합니다.
6. 사진을 촬영하기 전에 체표 상의 특정 지점에 표시하여 정확성을 확인합니다.
7. 후면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때 사진에 전체 조사 면이 포함되어야 하며, 또한 촬영된 두 장의 필름이 정확히 겹칠 수 있도록 중심축을 포함한 사진 두 장을 촬영합니다. 촬영할 때는 동일한 조건으로 촬영하고, 환자나 테이블이 움직여서는 안되며 같은 확대율로 촬영해야 합니다.
8. 촬영된 사진을 확인합니다.
9. 차트에 모든 자료를 기록합니다.
10. 추가 사항을 체표에 표시합니다.
11. 차폐 부위를 체표에 표시하고 사진을 촬영합니다.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반 및 척추, 사지 방사선 치료 (0) 2025.04.08 부 대동맥 림프샘(Para-Aortic Lymph Node) 조사법과 역 Y자 조사법(Inverted-Y Field Technique) (0) 2025.04.08 유방암 방사선 모의 치료 기법 (0) 2025.04.07 흉부(chest)의 방사선치료 (0) 2025.04.05 두경부 방사선 치료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