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암세포 면역 회피 전략과 성장 과정 이해(면역 항암제 시리즈 2편)

by 배리어스 2025. 9. 23.
반응형

암세포 면역 회피 전략과 성장 과정 이해

 

세포는 어떻게 면역을 속이고 성장하는가라는 질문은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앞선 1편에서 면역의 기본 구조를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암세포가 어떻게 면역의 눈을 피해 살아남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사실 우리 몸은 매일 수많은 비정상 세포를 제거하지만, 일부 암세포는 교묘하게 면역 감시망을 피하면서 성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암세포의 면역 회피 전략과 성장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암세포는 왜 면역 감시망을 피하려 할까?

암세포는 왜 면역 감시망을 피하려 할까?

 

우리 몸의 면역은 정상 세포와 비정상 세포를 구별해 비정상을 제거합니다.

 

이를 면역 감시 이론(immunosurveillance)이라고 부르는데, 실제로 면역 덕분에 대부분의 돌연변이 세포가 암으로 발전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일부 세포는 면역을 피하거나 억제하는 능력을 갖게 되고, 결국 암으로 성장할 기회를 얻습니다.

 

즉, 암은 단순히 세포가 무제한 증식한 결과가 아니라, 면역과 암세포의 끝없는 숨바꼭질의 산물입니다.


첫 번째 전략: PD-L1을 통한 위장술

PD-L1을 통한 위장술

 

암세포가 사용하는 가장 잘 알려진 전략은 PD-L1 단백질 발현입니다.

 

암세포 표면의 PD-L1이 T세포의 PD-1 수용체와 결합하면,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지 말라는 가짜 신호를 받습니다. 그 결과 T세포는 마치 암세포가 정상 세포인 것처럼 착각하고, 공격을 멈추게 됩니다.

 

이는 면역 억제의 대표적인 메커니즘으로, 현재 개발된 면역항암제(예: PD-1 억제제, PD-L1 억제제)가 집중적으로 겨냥하는 타깃이기도 합니다.

 

저 역시 이 개념을 처음 접했을 때 놀라움을 느꼈습니다. 일상에서도 면역력이 떨어지면 평소엔 잘 걸리지 않던 감기에 쉽게 감염되는데, 암세포는 단순히 면역력이 약한 틈을 타는 게 아니라 아예 면역의 스위치를 꺼버리는 셈이니,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두 번째 전략: MHC 분자를 줄여 자기 존재 감추기

MHC 분자를 줄여 자기 존재 감추기

 

면역세포가 세포 내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지가 바로 MHC(class I) 분자입니다.

 

정상적으로 세포는 내부 단백질 조각을 MHC를 통해 제시하고, 면역세포는 이를 보고 비정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그러나 암세포는 MHC 발현을 줄이거나 없애 버려, 면역세포가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마치 신분증을 내지 않고 군중 속에 숨어드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세 번째 전략: 종양 미세환경 조작

종양 미세환경 조작

 

암세포는 자신이 자라는 공간, 즉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을 교묘하게 조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면역 억제성 T세포(Treg), 골수유래 억제세포(MDSC)를 끌어들여 주변 면역을 약화시킵니다.

 

또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 인자를 분비해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고, 동시에 혈관을 새로 만들어 자신이 더 잘 자랄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합니다.

 

결국 암세포는 단순히 세포 자체만 문제가 아니라, 주변 환경까지 조정하면서 면역의 공격을 회피합니다.


네 번째 전략: 성장 신호 무제한 활용

네 번째 전략: 성장 신호 무제한 활용

 

정상 세포는 일정한 성장 신호를 받아야만 분열합니다.

 

하지만 암세포는 성장 신호를 무한히 켜두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어, 면역이 공격해도 금세 다시 증식합니다.

 

또한 세포 사멸(apoptosis)을 회피하는 능력까지 갖추고 있어, 죽어야 할 때도 살아남습니다.

 

이처럼 암세포는 면역의 공격을 단순히 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를 더 강하게 만드는 전략까지 사용합니다.


암과 면역의 끝없는 숨바꼭질

암과 면역의 끝없는 숨바꼭질

 

암은 단순히 세포가 무제한으로 자라는 질환이 아닙니다. 초기에는 면역이 암세포를 억제하지만, 암세포가 면역 회피 전략을 강화하면서 결국 균형이 깨지고 성장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면역 편집(immunoediting)이라고 부르며, 암 발생의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암 치료에서 면역을 회복시키거나 조절하는 새로운 접근, 즉 면역항암제가 필요하게 된 것입니다.


다음 편 예고

 

오늘은 암세포가 어떻게 면역 감시망을 피하고 성장하는지 살펴보았습니다. PD-L1을 통한 위장술, MHC 발현 감소, 종양 미세환경 조작, 성장 신호 무제한 활용 등 다양한 전략은 현재 개발된 면역항암제의 주요 타깃이기도 합니다.

 

다음 3편에서는 “기존 항암제와 면역항암제의 차이”를 주제로, 화학항암제·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제의 차이를 비교하면서 왜 면역항암제가 새로운 희망으로 주목받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면역이란 무엇인가?: 암과 면역 관계 쉽게 이해하기

면역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단순한 생물학 지식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는지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시작점입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려면 먼저 면역이

olvarious.com

 

코엔자임 Q10 효능 및 주의 사항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CoQ10)은 세포 에너지(ATP) 생성과 항산화에 핵심적으로 관여하는 성분입니다. 특히 심장·간·신장처럼 에너지 소모가 많은 장기에 풍부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체내 합성량

olvarious.com

 

폴리페놀의 효능부터 음식까지 총정리

하루가 다르게 피로가 쌓이고, 피부가 푸석해지며, 집중력까지 떨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내 몸 어딘가에서 균형이 깨지고 있구나”라는 신호를 느끼곤 하죠.이런 상황에서 관

olvarious.com

 

폴리페놀, 다이어트와 건강보조제로 활용하는 법

앞서 1편에서는 폴리페놀이 무엇이고 어떤 음식에 많은지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폴리페놀이 다이어트에 정말 도움이 될까?”, 그리고 “음식만으로 충분할까, 영양

olvarious.com

 

비타민 E – 세포를 지키는 항산화 비타민

비타민 하면 보통 비타민 C를 먼저 떠올리지만, 사실 우리 몸에서 비타민 E의 역할도 무척 중요합니다.비타민 E는 강력한 항산화 비타민으로, 세포가 손상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덕

olvarious.com

 

콜레스테롤 약, 먹어야 할까? 복용 기준과 부작용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말을 들으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고민이 있습니다. “이제 약을 먹어야 할까?”라는 질문이죠. 많은 분들이 약을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두려움 때문에 쉽게 결

olvarious.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