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이모저모

방사선 물리학이나 촬영방법 같은 방사선과 연관된 여러 정보를 알아보고 이를 기술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3.

    by. 배리어스

    목차

      체표 윤곽도(Body contour) 제작 및 자세 고정 장치는 방사선 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형상기억 플라스틱, 납줄, 석고붕대, 금속제 틀 등을 사용하여 체형을 구현하고 선량 분포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합니다.

       

      여기서 설명한 석고붕대를 이용한 방법은 임상에서 가장 간편하고 경제적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환자에게 Body contour 작성 방법을 설명한 뒤 필요한 재료를 준비하고, 환자의 체표에 필요한 윤곽을 표시합니다. 석고붕대를 적신 후 원하는 부위에 올려 고정하고, 완전히 굳을 때까지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이후 굳은 석고붕대를 분리한 후 Body contour를 정확히 표시합니다.

       

      이런 과정은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방법 중에서 환자의 상태와 병원의 상황에 맞춰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ody contour를 통해 얻은 정보는 전산화 치료계획에 이용하며, 보다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선 체표 윤곽도(Body contour)와 체표 윤곽도(Body contour)를 얻는 방법의 하나인 석고 붕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체표 윤곽도(Body contour)와 체표 윤곽도(Body contour) 를 얻는 방법
      체표 윤곽도(Body contour)와 체표 윤곽도(Body contour) 를 얻는 방법

       

      체표 윤곽도(Body contour)

       

       

      치료 부위를 결정한 후 조사선량을 계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선량 특성(beam data)을 이용한 단순 선량 계산입니다.

      단순 선량 계산은 체내의 불균등한 조직의 보상이 어렵고 정확성이 떨어져 올바른 선량 분포를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및 첨단 의료 장비의 발달로 인해 정확한 선량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계획할 수 있는 선량 계획 장치의 보급이 보편화되어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량 계획은 모의 치료촬영 시 얻은 Body contour와 치료 장치의 선량 특성(beam data)을 입력한 후 컴퓨터로 계산한 후 2차원 또는 3차원의 체내 선량 분포를 얻는 것이 가능합니다.

       

      Body contour는 정확한 치료계획을 작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얻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CT. MR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석고나 납줄 등을 이용하는 단순한 방법 등이 있습니다. Body contour를 얻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체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입니다. 또한 조사 면의 중심축 상의 횡단면을 기본으로 관심 영역(중심축을 제외한 상하의 다른 면)의 단면을 얻습니다.

       

      이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의 방법마다 여러 가지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병원 사정이나 환자 상태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석고붕대를 이용하는 방법

       

      2. CT, MRI,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3. 금속제 틀에 막대를 대량으로 넣어 체표 윤곽을 얻는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4. Body contour 제작 도구(Contouring Device)를 사용하는 방법

       

      5. 형상기억 플라스틱(Thermoplastic Tube 등)을 이용하는 방법

       

      6. 납줄을 이용하는 방법

       

       

      단순 체표 윤곽도

       

       

      임상에서 가장 간단히 환자 체형을 얻는 방법으로는 위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성이 떨어지며 동시에 여러 면을 얻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아서 주로 1~3개 정도의 체형을 얻는 데 많이 이용하며, 경제적입니다. 이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석고붕대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석고붕대 사용법

       

      1. 모의 치료 촬영 후 환자에게 체표 윤곽도 작성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석고붕대와 체표 윤곽을 그릴 수 있는 용지를 준비합니다. 

       

      이때 석고붕대는 넓이 2~4inch/길이 환자의 횡단면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하고, 체표 윤곽을 그릴 수 있는 용지는 Isocenter를 표시하는 십자가가 그려진 용지여야 합니다.

       

       

      2. 횡윤곽도가 필요한 위치를 정합니다. Body contour는 횡축에 대한 횡윤곽도를 주로 얻습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종축에 대한 종윤곽도를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방법은 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하며 윤곽도는 선량 분포에 관심 있는 면을 얻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조사 면의 중심 축상의 면을 기본으로 얻어야 하며, 필요할 경우 다른 부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환자 체표에 윤곽도가 필요한 면을 표시합니다.

       

      4. 석고붕대를 따뜻한 물로 적셔 가며 Y축(넓은 방향)에서 여러 번 접어 폭이 약 1~1.5cm가 되게 합니다. 그 이유는 따뜻한 물을 사용하면 굳는 시간을 감축할 수 있으며, 석고붕대를 접을 때 길이 방향으로 비벼주면 석고가 만들어진 뒤에도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5. 물기를 제거한 석고붕대를, 얻고자 하는 단면 위의 미리 그려진 부위에 일직선이 되도록 올려둡니다.

       

      6. 석고붕대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7. 석고붕대가 완전히 굳으면 전, 좌, 우측면 좌표를 붕대 위에 새깁니다.

       

      8. 중심축(isocenter)에서부터 표시된 세 점(전, 좌/우측면 좌표)까지의 거리를 caliper로 측정하여 윤곽도 용지에 위치를 나타냅니다. 이때 3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것은 이 점을 기준으로 윤곽도를 그리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3점은 윤곽도 제작의 기준점이 됩니다.

       

      9. 환자의 체표로부터 석고붕대를 분리한 후 윤곽도 용지 위의 세 점과 석고붕대에 후 윤곽을 표시합니다. 이때 석고붕대는 반드시 완전히 굳은 후에 분리해야만 모양의 변화 없이 정확한 윤곽도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중심축 이외의 다른 면의 윤곽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얻습니다. 또한 중심축을 기준으로 아래쪽 면을 "-"로 표기하고 위쪽 면을 "+"로 표기합니다. 즉 중심축에서 위로 5cm인 지점의 면은 "+5cm"로 표기합니다.

       

      10. 전·후, 좌·우 측면 사진을 촬영합니다.

       

      11. 환자는 모의 치료 장치에서 내려오게 합니다.

       

      12. 전·후, 좌·우 측면 X선 사진과 CT, MRI를 이용하여 제작된 윤곽도에 종양의 크기(target volume)와 내부 장기를 표기합니다. 이를 통해 전·후, 좌·우 측면 사진은 환자의 자세를 알 수 있으며, 조사 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촬영합니다.

       

      13. Body contour에 좌우 방향 및 환자에 관한 정보를 얻은 후 전산화 치료 계획 실로 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