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모의 치료촬영(Simulation)은 방사선 치료의 초기 단계로, 치료 계획과 환자 자세 최적화를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은 정확한 위치 조정과 치료 부위 분석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모의 치료촬영실은 다양한 장비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모의 치료촬영실의 구성, 장치 구조, 촬영 과정 및 SAD와 SSD 법, 기록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의 치료촬영실의 구성, 장치 구조, 촬영 과정 및 SAD와 SSD 법, 기록 사항 모의 치료촬영의 구성
모의 치료촬영(Simulation)실의 구성
모의 치료촬영실(Simulator room)
모의 치료 촬영 장치, 환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Laser( 수직 방향, 천정, 좌우 측벽, 후방 등)가 설치되어 있으며, 벽은 납과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1차선과 산란 선을 차폐할 수 있습니다.
조종실 (control room)
원격으로, 환자가 누워 있는 촬영대(Couch)를 조종할 수 있는 원격조종장치(Console)와 투시용 모니터가 있으며, 환자를 관찰하기 위해 납 유리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필름 현상실 (Film processor room)
자동 현상기가 있어 촬영한 모의 촬영 필름을 현상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필름 사용보다는 디지털 방사선영상을 이용합니다.
모의 치료 촬영 장치(Simulator)의 구조
Couch(Table)
환자가 눕는 촬영대를 의미하며, 투시 부위는 Myelo나 테니스 라켓으로 구성되며 축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Gantry
X선 관과 영상증배관(Image Intensifier)이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콜리메이터, 측광 투시기(SSD scale light), 조사면 표시등(Field light), X선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ccessory mount
각종 액세서리(전자선 콘 장착하기 위한 부품으로 환자 위치를 조정할 시 카우치와 충돌 등을 사전에 알 수 있도록 합니다.
Stand
갠트리 및 영상증배관(I.I tube)을 지지하고 갠트리를 회전시킵니다.
Image Intensifier Tube
투시 촬영을 할 때 X선을 영상화하는 장치로서 촬영용 카세트 Holder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영상증배관의 크기를 줄이고 필름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Amorphous silicon 영상장치를 이용해서 필름 없이 디지털 방사선영상을 만듭니다.
Power modulator
모의 치료 촬영 장치에 전원을 제공합니다.
Pendant switch
모의 치료 촬영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촬영실 내 스위치입니다.
조종실
투시 모니터 주전원 스위치와 모의 치료촬영 조작판이 있으며 투시 영상을 보면서 치료계획을 세웁니다.
Emergency button
장비의 오동작이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치료촬영실 벽이나 치료촬영 장비, 조종실에 설치합니다.
모의 치료 촬영 장치와 진단용 투시 장치의 차이점
방사선 치료 장치와 기하학적으로 동일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필름에 눈금이 일정 간격으로 나타납니다.
2. 갠트리가 회전합니다.
3. 카우치의 수평, 수직이동이 가능합니다.
4. 레이저 빔을 조종할 수 있습니다.
5. 선속을 중심으로 카우치의 회전이 가능합니다.
6. 액세서리를 탈부착할 수 있습니다.
7. Myelo 또는 테니스 라켓형 네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모의 치료 촬영 장치와 치료 장치의 비교
1. 기하학적 조건: 카우치 상태, Isocenter, 레이저 빔, SAD 등이 동일합니다.
2. 치료 장치와 모의 치료 촬영 장치는 기하학적으로 일치하게 조정합니다.
3. 모의 치료 촬영 장치를 이용해 투시가 가능합니다.
모의 치료촬영 과정
모의 치료촬영 순서 및 방법
1. 환자의 병력, 각종 수술 소견 및 검사 소견, 이학적 소견, 병리학적 소견 등을 확인하여 치료계획을 구성합니다.
2. 치료 목적과 환자의 전신 상태를 고려하여 환자의 자세, 치료 부위, 치료 장치의 선정, 보조 용구 사용, SAD 또는 SSD 법 등의 유무를 결정합니다.
3. 보호자나 환자에게 모의 치료촬영에 드는 시간과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여 협조를 요청합니다.
-의식불명 환자나 아기 또는 기능 장애 환자는 안정제를 사용하여 숙면 상태의 유지하고 환자의 움직임을 최대한 방지합니다.
4. 환자가 치료에 적합하면서 가능한 편한 자세로 만들고 치료계획(투시 및 촬영) 중 움직임이 적도록 주의합니다.
-치료 자세의 선택은 환자의 전신 상태나 치료 목적을 고려하여 가능한 편안한 자세를 유도하여야 하며, 실제 치료할 때 재현이 쉬워야 합니다.
-불안정한 자세는 치료할 때 재현성을 떨어뜨려 치료 효과가 저하됩니다.
5. 촬영된 필름을 현상 후 조사 면이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히 설정되었는지 확인한 후, 차폐 부위를 필름에 표시합니다.
6. 투시를 통해 종양 및 정상조직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확인하면서 조사 면을 결정한 후 촬영합니다.
7. 조사 면을 설정하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조사 부위의 피부에 문신이나 잉크를 이용해 표시합니다.
-Ink-marking: 잘 지워지지 않는 잉크를 사용하여 전면, 측면에 치료 위치를 표시합니다.
-문신(tattoo)・문신의 형태로 조사 부위를 표시하는 것으로 먹물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에 주사하여 표시합니다.
8. 선량 계산을 위한 정보를 얻습니다. (환자 횡단면도, 종양의 깊이 등)
9. 모의 치료촬영 정보를 작성 후 종료합니다.
SAD & SSD 법
환자의 위치 조정과 관련된 치료법으로는 크게 Source Skin Distance 법(SSD), Source Axis Distance 법(SAD)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SD 법
SSD 법(Source-Skin Distance Technique)은 선원에서 체간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치료법으로 조사면 크기 등과 같은 치료 정보에 대한 정의가 체표에서 이루어집니다.
SSD 법에서 위치 조정을 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의한 치료 부위의 변화는 SAD 법보다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위치를 재현하기가 더 쉬워 체표에 근접한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단순 1문 조사(예: 전자선 치료) 등에 많이 이용합니다.
SAD 법
SAD 법(Source-Axis Distance Technique)은 Isocentric Technique라고 하며, 치료 장치의 회전 중심축인 Isocenter를 치료 부위의 중심에 두고 SAD를 일정하게 하는 치료법입니다.
이때 선량 계산 및 조사면 크기 등과 같은 치료 관련 정보는 Isocenter에서 정의되며 회전 조사나 다문 조사 등과 같은 여러 방향에서 선속을 조사하는 경우, 효과적입니다.
모의 치료촬영 종료 후 체표에 치료 부위를 나타낼 때 회전중심 축을 표시하고, 실제 치료 시에는 중심축을 확인하여 선속의 중심과 일치하게 하면 환자의 체위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시행하는 전후 대형 2문 조사법은 회전 중심축을 치료 부위의 두께의 중간 지점에 두고 전면과 후면에서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모의 치료 촬영 장치와 치료 장치의 비교
모의 치료 촬영 장치는 치료기와 같은 구조와 기하학적 조건이 같아야만 모의 치료촬영 결과를 그대로 적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치료 장치와 모의 치료 촬영 장치가 같은 회사의 제품일 경우에는 조건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다를 경우에는 아래 조건이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1. 최소, 최대 콜리메이터 크기
2. 선원에서 차폐물 트레이의 상부 면까지 거리
3. 선원에서 회전 중심축 간 거리
4. 선원에서 테이블 윗면까지의 최대, 최소거리
5. 선원에서 콜리메이터의 밑 부분까지 거리
6. 치료 테이블의 넓이
7. 차폐물 트레이의 형태와 차폐물의 두께
8. 회전 중심축에서의 최대 조사면 크기
9. 테이블의 최대 하중
10. 모의 치료촬영실의 크기나 모의 치료 촬영 장치의 회전 제한성
11. Wedge의 종류 및 조사 면의 크기
모의 치료촬영의 기록 사항
1. 일시, 조사면 명, 치료 부위
2. 환자의 두께 및 피부에서 표적까지 거리
3. 치료법(SAD 또는 SSD 법)
4. 치료 장치 및 에너지
5. Gantry, Collimator, Couch 등의 각도
6. 조사면
7. 차폐 부위 표시
8. 환자 자세 사진(필요시)
9. 체표 윤곽 도의 유무
10. 고정용 보조 용구의 정보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자 치료 자세 고정 장치 (0) 2025.04.04 체표 윤곽도(Body contour)와 체표 윤곽도(Body contour)를 얻는 방법 (0) 2025.04.03 모의 치료(simulation), 모의 치료 촬영 장치 (0) 2025.03.19 전자선의 특징과 에너지값, 등선량 분포의 특징과 작성 및 보정 인자 (0) 2025.03.19 다양한 조사법에서 등선량 분포곡선에 영향을 주는 인자 (0) 2024.11.09